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

FLY32.net

프로필사진
  • 글쓰기
  • 관리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RSS

FLY32.net

검색하기 폼
  • 분류 전체보기 (111)
    • 끄적끄적 (20)
    • 프로그래밍 (38)
    • 멀티미디어 (14)
    • 게임관련 (4)
    • 유용한정보 (23)
    • 재밌는것 (12)
  • 방명록

전체 글 (111)
[보안] RSA PKCS의 관련 자료

Public Key Crpytography Standard(PKCS)는 RSA사에서 주관하고 있는 공개키 암호를 위한 표준으로 다음과 같이 PKCS#1 부터 PKCS#15 까지 있다. * 해당 링크에 가시면 보다 다양한 자료들(Testvectors, ASN.1 Module, doc 문서)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. PKCS #1: RSA Cryptography Standard RSA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 암호화, 서명 scheme의 구현에 대한 권고 표준이다. 이것은 키, scheme에 대한 ASN.1 표기도 포함한다. 현재 ver. 2.1이 draft(#3) 상태이다(6/14/2002). 2.0에서는 Optimal Asymmetric Encryption Padding(OAEP) 암호화가 포함되었고 2..

프로그래밍 2009. 3. 9. 18:59
[Java] HttpClient 간단 사용법 (@ 특정 IP 사용)

/** * HttpClient 간단 Test (+ 여러 IP 중에서 특정 IP 사용하기) * @author samE * @since 2009-03-03 * @return responseCode * @throws Exception */ public static int httpClientTest() throws Exception { String setIpAddr = "10.101.46.59"; URL url = new URL("http://127.0.0.1:8080"); HttpConnectionManager httpConnMgr = new SimpleHttpConnectionManager(); HttpConnectionManagerParams httpConnMgrParams = new HttpConnect..

프로그래밍 2009. 3. 3. 10:55
[Java] JVM Memory 관련 내용 정리

* JVM Memory 영역에 대한 설명 - Method Area : 메소드와 클래스 변수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, 모든 프로그램에 의해 공유. - Heap Area : 사용자가 생성하는 Java Object들이 저장되는 공간, 동적으로 할당하여 사용되어짐. - Stack Area : 메소드 호출시 해당 메소드의 매개변수, 지역변수, 임시변수 등을 저장하기 위한 Stack 구조의 메모리. - Native Heap Area : Java Object가 아닌 Native Object들이 거주하는 공간. OS 차원에서 결정. - Permanent Space : Class에 대한 Meta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. (Permanent Space는 Java Heap의 하위 영역) * Java 실행 Option 1. -X..

프로그래밍 2009. 3. 2. 12:14
HTTP Response Code

100 : Continue(계속) 101 : Switching Protocols(규약 전환) 200 : OK 201 : Created(생성 되었음) 202 : Accepted(접수 되었음) 203 : Non-Authoritative Information(비 인증 정보) 204 : No Content (내용이 없음) 205 : Reset Content(내용을 지움) 206 : Partial Content(부분 내용) 300 : Multiple Choices(복수 선택) 301 : Moved Permanently(영구 이동) 302 : Moved Temporarily(임시 이동) 303 : See Other(다른 것을 참조) 304 : Not Modified(변경되지 않았음) 305 : Use Proxy(프..

프로그래밍 2008. 11. 10. 16:59
Spinn + Triple.fi 10 pro

스핀 : 3.3인치 Amoled를 사용하여 정말 이쁜 색감을 마구마구 뿌려주시는 기기로 FLAC, APE까지 완벽히 지원하며 상당히 깔끔한 음색을 들려준다. 나의 사랑을 무지하게 받을 뻔 했지만 암부, 등고선 문제로 인해 결국 한달 정도 쓰다가 방출하였다. 컬러수만 좀 높았으면 더이상 바랄게 없었는데.. ㅠㅠ 개인적으로 가장 아쉬운 기기.. 트리플파이 : 지금까지 썼던 리시버 중에 가장 고가였고, 앞으로도 이만한 가격대의 리시버는 쓸 일이 없을 것 같다. 굉장히 훌륭한 사운드를 뿜어내지만 귀가 아프고 멍멍하여 도저히 사용할 수가 없다;; 중고로 구입하여 하루만에 방출 ㅠㅠ 나에게는 cm700과 em9d가... -_-b 그래도 사랑스러운 놈들이니 방출하기 전 핸드폰으로 발로 찍은 기념 샷,

끄적끄적 2008. 10. 4. 10:49
이전 1 ··· 3 4 5 6 7 8 9 ··· 23 다음
이전 다음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  • Plextor M5 Pro 구입기
  • jQuery 관련 북마크 정리
  • 티스토리 자바스크립트 오⋯
  • Eclipse Plug-in 개발 관⋯
최근에 달린 댓글
  • 와 정말 감사합니다. 잘되네요^^
  • 완지라는 억양은 모두 (전체)⋯
  • ASN.1 에 대해 제가 찾고 싶⋯
  • .저 어떻게 하는건지잘 모르⋯
Total
516,718
Today
2
Yesterday
26
링크
TAG
  • 시노하라 료코
  • tool
  • 네이트온 광수체
  • Eclipse
  • 레몬펜
  • 한글
  • Java
  • 이벤트또당첨
  • Database
  • semi pmp
  • 2MB
  • OpenID
  • 티스토리
  • 유머
  • 에픽하이
  • 이벤트
  • 영화
  • PMP
  • 지름신 강림
  • 게임
  • u500
  • 개발도구
  • JavaScript
  • 햄펙스
  • 맞춤법
  • 일드
  • 이벤트당첨
  • oracle
  • 마츠다 쇼타
  • 프로그래밍
more
«   2022/07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          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            
글 보관함
  • 2013/04 (1)
  • 2010/08 (3)
  • 2010/07 (1)
  • 2010/04 (2)
  • 2010/03 (1)

Blog is powered by Tistory / Designed by Tistor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