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1.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.
-데
하게 할 자리에 쓰여,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
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.
예) 그이가 말을 아주 잘 하데./그 친구는 아들만 둘이데./고향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데.
-대
'-다고 해'가 줄어든 말.
예) 사람이 아주 똑똑하대./철수도 오겠대?
2. 양자의 의미를 구별하면 이렇습니다.
'-데'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할 때 쓰며,
'-대'는 남이 말하거나 겪은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씁니다.
그래서 '-데'는 '-더라'로 대체할 수 있고, '-대'는 '-다더라'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.
그리고 '-던-' 뒤에는 '-데'만 올 수 있고 '-대'는 못 옵니다.
3. 구체적인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.
집이 크데. -> 직접 경험한 것을 말할 때 -> (내가 직접 봤는데) 집이 크더라.
집이 크대. -> 전해 들은 것을 전달할 때 -> (누가 그러는데) 집이 크다더라.
말을 잘 하데. -> 직접 경험한 것을 말할 때 -> (내가 직접 들었는데) 말을 잘 하더라.
말을 잘 한대. -> 전해 들은 것을 전달할 때 -> (누가 그러는데) 말을 잘 한다더라.
그 남자도 온대? -> 남이 들은 것을 물을 때 -> (니가 듣기에) 그 남자도 온다더니?
그 남자 안 온대. -> 남이 말한 것을 전달할 때 -> (누가 그러는데) 그 남자 안 온다더라.
노래 잘 하던데. ->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할 때 -> (내가 직접 들었는데) 노래 잘 하더라.
4. 다음 경우는 의미가 다르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.
1) '-대'는 놀람이나 못마땅함을 나타낼 때도 쓰입니다.
이것은 '-데/-대' 구분과는 다른 내용입니다.
예) 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 생겼대./왜 이리 춥대./웬 숙제가 이리 많대.
2) '-는데'라는 연결 어미와 종결 어미가 있습니다.
연결 어미 - 예) TV 보고 있는데 전화벨이 울렸다./노래는 잘 부르는데 춤은 잘 못 춰.
종결 어미 - 예) 잘 달리는데./성적이 많이 올랐는데?
출처 : 네이버 오픈백과
'유용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4 (~데로, ~대로) (0) | 2008.03.13 |
---|---|
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3 (~데, ~대) (2) | 2008.03.11 |
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2 (웬일?, 왠일?) (3) | 2008.03.11 |
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1 (~이, ~히) (4) | 2008.03.07 |
- Total
- 517,019
- Today
- 0
- Yesterday
- 9
- 마츠다 쇼타
- 네이트온 광수체
- Java
- 맞춤법
- u500
- OpenID
- 게임
- 일드
- 영화
- 개발도구
- tool
- oracle
- 프로그래밍
- 2MB
- JavaScript
- 이벤트
- semi pmp
- 이벤트당첨
- 시노하라 료코
- 에픽하이
- 레몬펜
- 티스토리
- 이벤트또당첨
- 지름신 강림
- 햄펙스
- 한글
- Database
- Eclipse
- PMP
- 유머